천 개의 찬란한 태양 / 할레드 호세이니 저 / 왕은철 역
작가 할레드 호세이니는 고교시절 공산주의가 나라를 점령하자 가족이 미국으로 망명한 아프카니스탄 인이다. 작가는 아프가니스탄의 현대 모습을 두 여인을 중심으로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사생아(서출), 부모끼리 결정하는 결혼, 남아 선호, 다처제 (첩), 부르카 (장옷) 등은 우리나라의 근세를 지배했던 사회제도들 이었다. 우리가 근세에 경험했던 상황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선 아직도 벌어지고 있다.
우리의 내전은 이데올로기에 기인하였지만 아프가니스탄의 내전은 이데올로기에 종족간의 분쟁, 종교적인 신념이 더해져 얼킨 실다래 같다. 공통의 적이 있는 외전보다 내전은 인간성을 더욱 황폐화 시킨다 한다. 적의 경계가 불분명한 국민간의 싸움이다. 실망, 배반, 허무가 곱절로 겹쳐 잔인함이 배가 되는 싸움이다. 아프가니스탄이 이런 나라일 줄은 몰랐다. 우리와 유사한 점도 많으니 한편 친근함도 느껴진다.
잔인함 속에도 사랑의 꽃은 핀다. 체념 속에도 희망은 있다. 안이를 버리는 인간의 불가사이도 있다. 이 책이 주는 메세지다.
책의 제목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은 17세기 유명한 페르시아 시인인 사이브에타브리지(saib-e-tabrizi)가 카불에 대해 노래한 시에서 따온 것이다. 해당 시구는 다음과 같다.
“지붕 위에서 희미하게 반짝이는 달들을 셀 수도 없었고
벽 뒤에 숨은 천 개의 찬란한 태양들을 셀 수도 없었네.”
( Yes24 에 있는 줄거리)
아버지의 하녀였던 어머니와 단둘이 외떨어진 오두막에서 사는 마리암의 소원은 단 한 가지, 부유한 아버지와 함께 사는 것이다. 혼외자로 태어나 사람들과 격리된 채 죽은 듯이 조용하게 살고 있는 마리암에게 아버지는 세상과 연결된 유일한 끈이다. 어느 날 마리암은 아버지에게 극장에서 함께 영화를 보고 싶다는 부탁을 한다. 그렇지만 아무리 기다려도 아버지는 오지 않고 결국 마리암은 아버지를 찾아간다. 그리고 아버지의 집 대문 앞에서 만나주지 않는 그를 밤새 기다리며 정실 자식이 아니라는 자신의 비참한 처지를 깨닫게 된다.
집으로 돌아온 마리암, 그러나 그녀를 기다리는 것은 나무에 목을 매단 어머니였다. 부인으로 대접을 못 받았던 치욕을 견뎌온 마리암의 어머니는 자식에게 버림받은 절망감에 목숨을 끊은 것이다. 어머니의 죽음 후 마리암은 자신을 떠넘기려는 아버지와 그 부인들의 손에 이끌려, 열다섯 어린 나이로 마흔 다섯의 구두장이 라시드에게 팔리듯이 시집을 간다.
강제로 하게 된 결혼이었지만 남편의 다정함으로 버림받은 상처를 조금씩 치유해가던 마리암, 그러나 그 행복은 오래가지 못한다. 계속되는 유산과 시간이 지날수록 폭력적인 본성을 드러내는 남편 라시드의 구타로 그녀의 삶은 끔찍해진다. 미래를 꿈꿀 수 없는 삶, 그렇게 마리암은 아무런 꿈도 희망도 없이 모진 세월을 견뎌낸다.
내전으로 인한 폭격이 계속되던 어느 날, 마리암이 멀리서 동경하며 지켜보던 옆집에 폭탄이 떨어져 이웃 지식인의 딸인 열세 살짜리 소녀 한 명만 살아남는다. 소녀의 이름은 라일라. 라시드는 소녀를 구하고 마리암과 함께 돌봐준다. 가여운 아이를 돌봐준다고만 생각했던 마리암과 달리 평소 라일라의 아름다운 외모에 눈독을 들이고 있었던 라시드는 그녀를 둘째부인으로 삼는다.
지식인 부모를 가졌고 사랑하는 연인도 있는 라일라였지만, 부모의 죽음과 뒤이은 연인의 사망 소식, 그리고 자신의 뱃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연인의 아이 때문에 라일라는 라시드와의 결혼을 받아들이고 만다. 결혼 후, 라일라는 뱃속의 아이를 라시드의 아이로 속인 채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그렇게 만난 마리암과 라일라. 처음 마리암은 자신의 삶에 그렇게 끼어든 라일라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렇지만 새로운 생명이 태어난 뒤 둘의 관계는 변화한다. 함께 아이를 돌보며 남편의 폭력 속에서도 진짜 가족의 사랑을 경험한다. 그리고 둘은 남편의 폭력에 용기를 내어 함께 맞서고, 라일라는 어머니 같은 마리암에게 의지하며 끔찍하고 비참한 생활을 견뎌나간다. 집밖에는 연일 포탄이 터지고 집 안에서는 언제 남편이 매질을 할지 모르는 상황이지만, 서로를 위해 자신을 희생해가며 더 나은 삶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 두 여자, 그들의 가슴 벅찬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