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스트림이란 무엇인가 ‘다운스트림’은 문제가 발생한 뒤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하나 ‘업스트림’은 문제가 아예 발생하지 않도록 막는 것을 의미한다. ‘다운스트림’은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지만 ‘업스트림’ 활동은 의무가 아니라 선택이기 때문에 하기 쉽지 않다. ‘다운스트림’은 성과 분석이 자명하고 용이하지만 ‘업스트림’ 활동은 성과 분석이 용의치 않아 행동으로 이끌기가 쉽지않다. 업스트림 방식이 항상 옳은 건 아니다. 그렇다고 다운스트림 방식을 포기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어제와 같은 문제로 씨름하는 이유 (방해 요인) 1. 문제 불감증 A. 졸업률을 25% 올린 시카고 공립학교 사례 : 낙제가 절반. 원래 그랬으니까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다 -> 가장 낙제가 많은 9학년(고1)에 유능한 교사 배치. 맥을 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