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10월 9일 8시 50분경(?) 핵실험을 했다. 청와대는 당일 오전 11시 55분 “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에서 오전 10시 35분 함북 화대군에서 진도 3.58~3.7 규모의 지진파 감지해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개최 중”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그러나 지질연은 다시 낮 12시33분에는 재분석을 거쳐 위치를 북위 40.810 동경 129.101로 재수정했다. 이에 따라 국가정보원은 당초 청와대 발표와는 달리 국회 정보위에 함북 김책시 상평리 일대가 핵실험 장소라고 보고했다. 지질연은 이어 13일 1차 수정 발표에 이어 15일에는 핵실험 장소를 함북 길주군 만탑산 인근 지점으로 최종 발표했다. 이같이 핵실험 장소에 대한 지질연의 우왕좌왕식 발표 내용은 지질연의 장비수준과 연구원 실력 등에 문제가 있었던 것도 여러 원인 중 하나지만 이번 사태의 발단은 청와대와 국정원 등 상급기관이 지질연의 수준과 국제적 지진파 분석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상황발생 30분 안에 보고하라’고 무리하게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한 국회의원이 지적했다.
반면 미국 지질조사국은 6차례 내부 수정을 거쳐 북한 핵실험 3시간 뒤에, 일본 기상청도 5시간이 지난 시점에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국제기구인 포괄적핵실험금지(CTBTO)는 최초 지점 발표를 지진발생 8시간 뒤에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회사에서도 똑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예측은 예측이다. 틀릴 수 있다고 가정해야 한다. 오차를 어느 정도로 하겠는가? 에 촛점을 맞춰야 한다. 필요 이상의 정확한 수치를 요구한다면 불필요한 관리비용을 유발하는 낭비요인이 될 수 있다. 때 이른 보고나 자료 요구는 더욱 오차도 크고 관리비용도 많이 든다.
굳바이 사리에 맞지않는 조급증이여!
'FEEL >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 놀음을 좋아하지 않는다. (0) | 2006.11.07 |
---|---|
제 2 인자 (0) | 2006.10.18 |
無財七施 (0) | 2006.09.29 |
차라리 offender가 되자. (0) | 2006.09.22 |
정지한 시계가 가는 시계보다 정확하다 ? (0) | 2006.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