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에 나오미 왓츠, 에드워드 노튼 주연의 '페인티드 베일' 이라는 영화를 TV로 봤다.
별 기대 없이 봤는데 여운은 일주일 내내 가시지 않았다.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니 원작은 W. Sommerset Maugham의 Painted veil 이란다.
윌터가 콜레라로 죽으며 밤새 병수발을 든 키티에게 '미안하다. 용서해달라' 란 마지막 말을 남긴다. 키티는 모두 자신의 잘못이라며 통한의 눈물를 흘린다. 세월이 흘러 꼬마가 된 아들 (찰스와의 불륜으로 태어난) 과 런던 거리를 걷던 중 찰스와 조우한다. 찰스의 유혹에 키티는 무시하며 차갑게 가는 게 마지막 장면이다. 아들은 월터의 성을 따렀다. 원작과 영화의 결말 내용이 다르다 한다. 영화에서는 늦게 찾은 사랑의 확인으로 끝난다. 영화의 결말이 내겐 편하다.
사실 도덕이란 인간의 희망을 적어 놨을 뿐 현실은 꼭 그렇지 않다. 그게 인간 세상이다. 서머셋 몸이 생각하는 인간 세상의 아이러니다. 그의 인간에 대한 성찰에 공감이 간다.
(Yes24 줄거리와 서평).
한낮의 열기가 기승을 부리던 어느 여름날 침실에서 찰스와 밀애를 즐기고 있던 키티, 순간 누군가 엿보고 있음을 알고 불안에 떨게 된다. 남편 월터였을까? 1920년대 영국 식민 통치 하의 홍콩. 영국인 세균학자 월터 페인의 아내 키티는 홍콩 총독부 차관보 찰스 타운센드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있다. 어머니의 강압적인 분위기에 못 이겨 도피하듯 결혼한 키티는 진실하며 유능하지만 수줍고 사랑에 서투른 남편 월터가 아닌 바람둥이 매력남 찰스에게 불같은 열정을 느끼며 불륜에 빠져든 것이다.
불안하고 어색한 며칠을 보낸 후, 월터는 키티에게 자신이 모든 걸 알고 있음을 선언하고 함께 콜레라가 창궐한 중국의 오지 마을 메이탄푸로 갈 것을 강요한다. 만약 그녀가 따라오지 않는다면 간통죄로 고소하겠다고 협박한다. 키티는 자신에 대한 찰스의 사랑을 확신하며 찰스에게로 달려가지만, 찰스는 비열한 속내를 보이며 발뺌을 하기에 바쁘고 은근히 그녀가 남편을 따라 사지로 가서 모든 것이 조용히 덮어지길 바란다. 거짓 맹세로 그녀를 성적으로 이용했단 말인가? 사실 월터는 찰스가 어떤 인간이며 어떻게 나올지 훤히 꿰뚫고 있었던 것이다.
비탄에 빠진 키티는 어쩔 수 없이 월터를 따라 전염병이 도는 중국 본토로 들어간다. 죽음이 사방에 깔린 동방의 메이탄푸는 상실감과 사랑의 상처에 괴로워하는 그녀에게 완전히 새로운 세상으로 다가온다. 코앞에 도사린 죽음과 광활한 자연은 키티가 상처에서 서서히 회복되고 인생을 새롭고 대범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이끈다. 세관원 워딩턴과 프랑스 수녀들과의 교제를 통해 그동안 어리고 편협하던 예전의 모습을 차차 벗어 던지고 대승적인 차원의 깨달음을 얻는다.
낯설고 새로운 동양의 세계, 그들의 신비로운 세계관은 신선하게 다가온다. 누가 누굴 사랑하고 누가 누구와 잤는가 하는 문제들이 인생이라는 커다란 강물 앞에 시시하게 느껴질 뿐. 게다가 더 이상 찰스를 사랑하지 않는 지금, 자신의 과거에 대해 집착하는 것은 허황된 것이라는 걸 깨닫는다.
하지만 헌신적으로 전염병 퇴치에만 매달리고 있는 월터는 키티에게는 마음의 문을 굳게 닫아버린다. 키티와는 달리 월터는 사랑의 상처가 안으로 곪아들어 영혼까지 침식당하며 점점 메말라간다. 한편 자신이 임신했음을 알게 된 키티는 아이의 아버지가 월터인지 찰스인지 확신할 수 없다. 아이 아버지가 누구냐는 월터의 질문에 키티는 거짓말을 할 수 없다.
어느 날 밤 급한 전갈을 받고 달려간 키티 앞에 월터가 콜레라에 걸려 죽어가고 있었다. 눈물로 용서를 구하는 키티에게 월터는 “죽은 건 개였다.”는 수수께끼 같은 말을 남기고 눈을 감는다. 월터는 환자들에게서 병을 얻은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세균 실험을 하다가 감염되었을지 모른다는 사실을 전해 듣고 키티는 충격을 받는다. 월터가 자살한 것일까?
(월터의 마지막 말은 올리버 골드스미스의 시를 인용한 것이다. 어느 날 한 남자가 개를 만나 친구가 되었지만 그 개가 남자를 물었는데 사람들은 미친개에게 물린 남자가 죽을 거라고들 했지만 정작 남자는 상처가 낫고 개가 죽었다는 내용이다. 월터는 정말 키티가 죽기를 바랐었다는 뜻일까?)
※ 서머싯 몸이 조심스럽게 제안하는 인생의 희망은 “용서”
작가는 월터의 죽음이 자살일지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 결국 월터가 아내를 용서하지 못하고 사랑의 상처를 극복하지 못했다. 반면 “키티가 오지의 마을에 도착한 첫날 새벽에 목격한 자연의 풍경은 종교적인 체험에 비견될 만큼 애욕에 지친 그녀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었다.”(옮긴이의 글)
키티는 찰스와 말다툼을 벌이다가 애증의 소용돌이에 다시 한 번 휘말리게 된다. 꺼져버린 줄 알았던 애욕의 불씨가 되살아나 찰스와 잠자리를 하게 된다. 메이탄푸에서 그 모든 일들을 겪고 나서 잠시나마 새로운 인생에 대한 자신감과 자유로움으로 충만했던 그녀는 또다시 자괴감에 빠져 인생의 미로에 떨어진다. 왜 키티는 그토록 진실하고 그녀를 사랑했던 월터는 사랑하지 못했는가? 그토록 경멸하는 찰스의 품에 또다시 자신을 내던지다니.
“그러고는 고개를 푹 떨어뜨리고 팔에 얼굴을 파묻고는 서럽게 흐느끼기 시작했다. 이건 수치야, 수치! 자신에게 무슨 일이 들이닥친 건지 그녀는 혼란스러웠다. 끔찍했다. 그녀는 그가 미웠고 그녀 자신도 미웠다. 황홀했었다. 아, 가증스러워라! 그녀는 그의 얼굴을 다시는 마주할 수 없을 것이다. 찰스는 너무나 옳았다. 무가치한 그녀와, 그가 결혼하지 않은 건 그로서는 당연했다. 그녀가 매춘부보다 나은 게 뭐란 말인가. 아니, 더 형편없지. 최소한 그 가여운 여자들은 빵을 위해서 자신을 내준다. 그것도 도로시가 그녀를 받아준 이 집에서! 슬픔과 비통함은 또 어쩌고! 그녀의 어깨가 흐느낌으로 흔들렸다. 이제 모든 것이 다 끝장이다. 그녀는 자신이 변했다고 생각했었고, 자신이 강하다고, 독립한 여성으로서 홍콩으로 돌아왔다고 생각했었다.”(본문 76장)
※ 세대가 바뀌어도 아이러니컬한 사랑의 속성은 변하지 않는다
월터는 도덕적으로 우월하고 자신의 분야에서 능력 있고 성실하고 진실한 남자다. 그것을 안 후에도 키티는 여전히 섹시하고 가식적인 찰스 앞에서 무력해진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을 반드시 사랑할 수 있을까? 물론 아니다. … 내게 애정을 품은 사람을 판단하기에 앞서 나를 사랑한다는 이유만으로 이미 내 마음속에서는 알 수 없는 잔인함이 흉물처럼 꿈틀거리는 것이다.”(옮긴이의 글)
영국의 부모에게로 돌아가던 중 키티는 어머니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받는다. 철저한 속물로 가족들 위에 군림하며 키티를 좌지우지했던 어머니. 그녀를 옭아맸던 또 하나의 족쇄가 풀렸다. 키티는 그동안 소원했던 아버지와 관계를 회복하고 함께 버마로 떠나게 된다. 뱃속의 아기가 딸이라면, 남자에게 예속되는 삶을 살도록 키우지 않겠다고, 당당하게 홀로 서는 독립적인 여성을 키워내겠다고 다짐하면서.
자신이 그토록 신뢰하고 사랑했던 찰스가 형편없고 허영 덩어리인 이기주의자였다는 걸 깨닫고 그를 뼛속까지 경멸하지만, 여전히 그의 애욕 앞에서 다시 무너지고 마는 자신에 대해 혼란스러워한다.
키티는 자신을 진정으로 아끼는 남편을 존경하면서도 왜 사랑하지 못할까? 서머싯 몸은 지적이고 냉철한 월터의 비극적 종말과 아름답지만 경박한 키티의 힘겨운 성숙을 통해 인간의 한없는 나약함과 인생의 아이러니들을 끄집어낸다.
작가가 인용한 셸리의 시 (“오색의 베일, 살아 있는 자들은 그것을 인생이라고 부른다.”)처럼, 인간을 덮고 있는 아름다운 베일을 들추면 희망이 있을 것 같지만 실은 인생이라는 베일 너머로 아른거리는 것은 알 수 없는 두려움과 절망이기도 하다.
'ENJOY > 행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umdog Millionare (0) | 2009.08.04 |
---|---|
콜드 마운틴 (Cold Mountain, 2004) (0) | 2009.01.27 |
맘마미아 (Mamma Mia, 2008) (0) | 2008.09.15 |
색계 (Lust Caution, 2007) (0) | 2007.11.15 |
로스트 라이언즈 (Lions for Lambs 2007) (0) | 2007.11.13 |